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31

32. 체액성 면역의 작동 기전 체액성 면역의 작동 기전 체액성 면역은 항체에 의해 매개되며, 이것은 세포 외 미생물과 미생물 독소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는 적응면역계 기전입니다. 항체는 B 림프구와 형질세포에 의해 림프 기관과 골수 내에서 생산되지만 작동 기능은 생산된 곳과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수행됩니다. 항체들은 점막 분비물에 들어가서 먹거나 흡입된 미생물에 대한 방어를 담당하며, 혈액 내로 들어가서 순환하다가 항원이 있는 곳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체액성 면역은 초기 인식 단계와 활성화 단계는 비장, 림프절, 점막 림프조직 내에서 일어나지만 작동 단계는 전신적입니다. 방어면역을 매개하는 항체는 이전의 항원 접촉에 의하여 만들어져 있던, 수명이 긴 형질세포에 의해 활성화에 의하여 만들어집니다. 감염이나 예방접종에 의하여 미.. 2023. 11. 22.
31. 세포매개면역의 작동 기전들 세포 매개 면역반응의 유형 세포 매개 면역(cell-mediated immunity, CMI)은 세포 내 기생 미생물들에 대한 적응면역반응입니다. 이는 T 림프구들에 의해 매개되며, 면역된 개체로부터 면역되지 않은 개체로 항체가 아닌 T 세포에 의해 전달됩니다. CMI는 미생물의 유형별로 각각 별개의 보호적 T 세포 반응을 유발합니다. 포식세포의 포식소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적응면역반응은 포획된 미생물들을 파괴하는 포식세포들을 활성화시키고, 미생물 항원들을 인식하는 T 림프구들에 의해 매개됩니다. 포식세포들은 선천면역 동안 초기에 나타나는 방어기전으로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이런 상황에서 CMI는 포식세포의 미생물 살해 작용을 증강시켜 미생물을 제거합니다. 비 포식세포를 포.. 2023. 11. 21.
30. 선천면역 선천면역 인식의 특징 선천면역계는 미생물에 대한 1차 방어선을 제공합니다. 선천면역의 기전은 미생물에 노출되기 전부터 존재합니다. 선천면역계의 구성 요소는 상피 장벽, 백혈구(호중구, 큰포식세포 및 NK 세포), 순환 작동 단백질(보체, 콜렌틴, 펜트락신) 및 사이토카인(TNF, IL-1, 케모카인, IL-12, IFN-γ)등이 있습니다. 선천면역의 구성요소는 포유동물의 세포에는 존재하지 않고 병원미생물에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구조를 인식합니다. 선천면역의 미생물 표적은 분자 유형이라고 하며, 이러한 보존된 구조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유형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s)라고 부릅니다. 여러 종류의 미생물은 서로 다른 유형인식 분자 수용체에 의하여 인식되는 다양한 분자 유형을.. 2023. 11. 20.
29. 사이토카인 (Cytokine) 사이토카인의 일반적 특성 사이토카인들은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을 매개하고 조절하는, 미생물과 그 밖의 항원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단백질 집단입니다. 동일한 사이토카인이 여러 형태의 세포에서 만들어지며, 각 사이토카인은 많은 종류의 표적 세포의 특이적 막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작용합니다. 사이토카인의 분비는 자기-제한적인 일시적 반응입니다. 사이토카인은 이미 형성된 분자로서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세포의 활성화 결과로써 새로운 유전자 전사에 의해 시작됩니다. 이 전사적 활성화는 대개 일시적이기 때문에 사이토카인의 합성도 역시 일시적입니다. 사이토카인은 국소적으로 사이토카인을 분비한 세포에 작용하거나(자가분비 작용), 가까이에 있는 세포에 작용합니다(주변분지 작용). 또한 대량으로 생성될 때는 순환계로 들.. 2023.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