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전자3

10. 세포주기 조절 세포주기 조절계 (Cell-cycle control system)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체계를 세포주기조절계라고 합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알맞은 시각에 필요한 효소와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각 과정이 종결된 후에는 일단 그들을 불활성화시켜야 합니다. 또한 세포주기의 각 단계는 다음 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종결되어야 합니다. 이때 이전 과정이 제대로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필요하고, 따라서 주기의 중요한 부분에서 조절 장치 자체가 진행 중인 과정의 피드백에 의해 다시 조절 받습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세포주기의 각 과정을 촉발하며 여러 과정 중 하나가 오래 걸리더라도 그 순서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다양한 확인 지점에서 세포주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분자적 제동장치.. 2023. 10. 27.
8. 유전자 발현 조절 유전자 조절의 결과: 특정 세포로의 분화 세포들은 수많은 유전자 중에서 특정 유전자만을 단백질로 발현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세포 생물은 분화를 거치면서 유전자발현을 조절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RNA와 단백질을 만들어 축적하면서 서로 다른 다양한 세포 유형이 형성됩니다. 분화한 세포는 크기, 모양, 행동, 기능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입니다. 어떠한 단백질들은 다세포생물의 모든 세포에 공통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단백질을 관리 단백질이라고 하며,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관리 유전자라고 부릅니다. 또 다른 단백질들은 특정 세포 종류에서만 발현됩니다. 유전자 발현의 조절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DNA로부터 단백질합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언제, 얼마나 자주 특정 유전자를 전사시킬 것인지, RN.. 2023. 10. 24.
4. DNA: 유전 정보 저장소 DNA 구조와 기능 생명은 생물체의 생성과 유지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저장, 검색, 해독하는 세포의 능력에 의해 좌우됩니다. 이런 유전정보는 세포분열을 통해 다음 세대로 전달됩니다. 이와 같은 정보는 살아있는 세포 안에 유전자로서 저장됩니다. 1940년대에 DNA가 유전정보 전달체로 규명되었습니다. 이전 글에서 DNA에 대해 잠깐 다룬 적이 있습니다. DNA의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이며 이중 나선 가닥으로 존재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당의 3’-수산기와 인접한 당의 5’-인산기 사이에 형성된 이 인산 에스테르결합에 의해 공유결합되어 당-인산 골격을 이룹니다. 따라서 한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사슬은 화학적 극성을 갖게 됩니다. 이와 같은 DNA의 극성은 한쪽 끝을 3’ 말단, 다른 한쪽 끝을.. 2023.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