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원5 18.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란 무엇인가? -1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T 림프구의 주요한 기능은 세포 내 미생물에 대한 방어 작용과 큰포식세포, B 림프구와 같은 다른 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작업입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감염된 숙주세포, 수지상세포, 큰포식세포, B 림프구들과 같은 세포들과 T 림프구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T 림프구의 항원 수용체는 다른 세포들에서 처리되어 발현되는 항원들만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다른 세포들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T 림프구의 이러한 특이성은 B 림프구의 특이성과 아주 대조적입니다. B 림프구가 분비하는 항체는 세포와 결합된 항원뿐만 아니라 수용성 항원도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항원이 T 림프구에 의해 인식되기 위해서는.. 2023. 11. 1. 17. 항원-항체 결합의 특징 항원의 생물학적인 특성 항원은 항체분자 또는 T 림프구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입니다. 항체는 복합 탄수화물, 인지질, 핵산, 단백질 등의 거대분자뿐만 아니라 단순한 중간 대사 산물, 탄수화물, 지방, 자극성 약물, 호르몬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생물학적 분자들을 항원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로지 펩타이드만을 인식하는 T 림프구와는 대조적인 현상입니다. B 림프구를 자극할 수 있는 거대분자만이 오로지 체액성 면역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면역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분자를 면역원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대분자는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보다 큽니다. 따라서 모든 항체는 거대분자의 항원결정기라고 하는 일부분에서만 결합합니다. 이들 중 어떤 것들은 반복되어 있고 각각에 항체가 결합할 수 있습니다.. 2023. 11. 1. 16. 항체의 분자 구조 항체의 분포 적응면역반응은 림프구에 의한 항원의 특이적 인식에 의해 시작됩니다. 우선 B 림프구의 항원 수용체이며 작동 분자인 항체의 구조와 이들의 항원 인식 방법에 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항체는 생체 체액 전반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몇 가지 세포 표면에서도 발견됩니다. 항체분자를 생산하는 세포는 B 림프구뿐입니다. B 림프구에서 항체는 세포질 세망과 골지체,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내재성 막단백질입니다. 분비형 항체는 주로 혈장과 점막 분비액에 존재합니다. B 림프구에 의해 합성되고 분비된 항체는 수용체를 가진 단핵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비만세포와 같은 다른 면역 작동 세포들의 표면에도 결합되어 있습니다. 항체의 분자 구조 혈장 또는 혈청 당단백질은 용해도에 따라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나누어집니다.. 2023. 10. 31. 15. 림프 기관의 종류 림프 조직의 기능 특이 면역반응의 인식 단계와 활성화 단계에 필요한 세포들의 상호작용이 최적화되기 위해서는 림프구와 부속 세포들이 특정 해부학적 부위에 집중적으로 위치해야 합니다. 이 부위는 외래 항원이 운반되고 집결되는 부위와 같습니다. 림프조직은 림프구가 최초로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며 표현형적, 기능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조직으로서 일차림프기관이라고도 불리는 생성 기관과 림프구가 외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개시되고 발전되는 부위로서 이차림프 기관으로 분류됩니다. 포유류의 생성림프기관에는 림프구가 생성되는 골수, T세포가 성숙하여 기능적 능력을 갖추게 되는 가슴샘이 있습니다. 말초 림프기관 및 조직은 림프절, 비장, 피부 면역계, 점막 면역계가 있습니다. 생성 림프 기관 골수는 미성숙 림프구를 포함하여.. 2023. 10. 3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