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29

14. 림프구(lymphocyte)와 항원제시세포(APC) 림프구 림프구는 체내에서 각기 다른 에피토프를 구별하여 특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적응면역반응의 두 가지 독특한 특성인 특이성과 기억을 갖도록 하는 유일한 세포입니다. 항원에 의해 자극되지 않은, 미감작 림프구는 작은 림프구라고 합니다. 작은 림프구는 응축된 뭉친 염색질을 갖는 커다란 핵을 갖고 있습니다. 항원 자극 이전에, 작은 림프구는 휴지 상태 혹은 세포주기의 G0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휴지 상태의 작은 림프구는 세포주기의 G1 단계로 진입합니다. 이들은 크기가 커지며 더 많은 세포질과 세포 내 소기관을 갖게 되고 세포질 내 RNA의 양이 증가합니다. 이들을 큰 림프구, 혹은 림프아세포라고 부릅니다. 림프구의 부류 림프구들의 기능과 단백질 산물이 각기 다른 독특한 부류들.. 2023. 10. 30.
12. 적응면역(adaptive immunity)의 특성 적응면역 반응의 두 가지 유형 적응면역에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라고 불리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들은 면역계의 각기 다른 성분에 의해 매개되며, 각기 다른 유형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체액성 면역은 혈액과 점막 분비물 내 항체라고 불리는 분자에 의해 매개되는데, 이는 B 림프구라는 세포에 의해 생성됩니다. 항체는 미생물 항원을 인식하여 그 미생물의 감염성을 중화시키고 다양한 작동 기전에 의해 표적 미생물을 제거합니다. 분비형 항체는 이러한 미생물 및 독소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제거를 돕기 때문에 체액성 면역은 세포 외 미생물 및 이로부터 분비된 독소에 대한 주된 방어 기전입니다. 항체는 그 자체가 특수화되었으며, 각기 다른 유형의 항체는 각기 다른 작동 기전을 활성화합니다.. 2023. 10. 29.
11. 면역(immunity):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기전 면역이란 무엇인가? 오늘은 면역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면역(immunity)’이란 감염성질병으로부터의 보호를 의미합니다.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와 분자들이 면역계를 구성하는데, 외부 물질의 침입에 대한 이들의 집합적이고 협동적인 반응을 면역반응이라고 부릅니다. 면역계는 감염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이지만, 비감염성 외래 물질도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우리 몸을 보호하고 외래 물질을 제거하는 기전은 어떤 상황에서는 그 자체로 조직의 상해와 질병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미생물에 대한 방어는 초기의 선천 면역반응과 후기의 적응면역반응에 의해 매개됩니다. 선천면역은 감염 이전에 존재하는 세포성 및 생화학적 방어기전으로 구성되며 감염에 빠르게 반응을 .. 2023. 10. 28.
10. 세포주기 조절 세포주기 조절계 (Cell-cycle control system)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체계를 세포주기조절계라고 합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알맞은 시각에 필요한 효소와 단백질을 활성화하고, 각 과정이 종결된 후에는 일단 그들을 불활성화시켜야 합니다. 또한 세포주기의 각 단계는 다음 단계가 시작되기 전에 종결되어야 합니다. 이때 이전 과정이 제대로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필요하고, 따라서 주기의 중요한 부분에서 조절 장치 자체가 진행 중인 과정의 피드백에 의해 다시 조절 받습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세포주기의 각 과정을 촉발하며 여러 과정 중 하나가 오래 걸리더라도 그 순서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세포주기 조절계는 다양한 확인 지점에서 세포주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분자적 제동장치.. 2023.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