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29 28. 면역관용 면역관용의 일반적인 형태와 기전 면역관용은 항원 특이적인 림프구가 그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유도되는 그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무반응 현상을 뜻합니다. 특정 항원을 인식하는 림프구가 항원을 만나면, 림프구가 활성화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나거나, 림프구가 불활성화되거나 제거되어 면역관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자기 항원에 대한 관용을 자가면역 관용은 정상적인 면역계가 가지는 기본 성질입니다. 자기관용이 실패할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유발됩니다. 항원의 투여 방법에 다가 면역반응이 아닌 관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이식 거부반응을 막거나 자가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자가관용은 두 가지 기전으로 일어납니다. 하나는 자기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미성숙 림프구가 생.. 2023. 11. 19. 27. B 세포의 활성화 항원 인식과 항원에 의한 B 세포의 활성화 체액성 면역반응에서, B 림프구는 항원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그 항원을 제거하는 항체를 분비합니다. 단백질 및 비단백질 항원 모두가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항원 특이적 B 림프구의 활성화는 성숙한 B 세포의 항원 수용체인 막형 Ig 분자(미감작 B 세포의 IgM과 IgD)에 항원이 결합함으로써 시작됩니다. 막형 Ig와 결합하고 있는 신호 전달 분자인 Ig α와 Ig β는 항원이 Ig에 결합하면 신호를 전달하며, 신호들이 연쇄반응이 일어나 전사인자들의 활성화와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합니다. B 세포의 활성화에는 항원 이외의 제2신호가 필요하며, 이는 보체 단백질이 제공합니다. 보체계는 항원과 결합한 항체 분자에 결합함으로써 활성화되거나, 항체 없이 .. 2023. 11. 10. 26. T 림프구의 활성화 T 림프구의 기능적 반응 T 세포 반응은 APC의 표면에 있는 항원을 인식함으로써 야기되는 TCR 복합체의 집락화에 의하여 제공되는 신호와 APC에 발현된 동시자극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신호에 의하여 개시됩니다. 신호에 의한 T 림프구의 반응은 사이토카인 분비, 증식 및 분화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 세포의 반응은 항원의 성질, 항원을 제시하는 APC, T 세포의 성숙과 분화의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항원 인식에 대한 T 세포의 반응 중 확인할 수 있는 초기 반응은 사이토카인이라 불리는 단백질의 분비입니다. T 세포에서는 항원과 동시 자극에 의해 유도된 여러 신호에 의해서 여러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전사와 단백질 합성이 개시됩니다. 미감작 T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은 인터류킨-2(IL.. 2023. 11. 9. 25. B, T 림프구의 성숙 림프구 성숙 B 림프구와 T 림프구는 림프구 계통 세포로 운명 지워지는 공통된 골수 전구세포로부터 유래합니다. B 세포의 성숙은 골수에서 진행되나, 초기의 T 세포 전구체는 가슴샘에 들어가 거기서 성숙을 완료합니다. 초기의 성숙은 미성숙 림프구의 수적인 증가를 초래하며, IL-7과 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증식으로 특정 지을 수 있습니다. B 세포와 T 세포의 성숙은 항원 수용체 유전자 분절의 체세포 재조합과, B 세포 전구체에서는 Ig 분자의 발현, T 세포 전구체에서는 TCR 분자의 발현을 포함합니다. 항원 수용체의 발현은 분화 중인 림프구의 생존과 성숙에 필수적이며, 또한 유용한 항원 특이성의 다양한 레퍼토리를 유도하는 선택 과정에도 필수적입니다. B와 T 세포의 항원 수용체는 배선(g.. 2023. 11. 8.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