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물학31

20.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란 무엇인가? -3 MHC 분자와 펩타이드의 결합 T 세포의 항원 인식 과정을 이해하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을 정의하기 위해서 MHC 분자에 결합될 수 있는 펩타이드의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한 개의 단백질을 면역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그 단백질 자체에 MHC 분자와 결합될 수 있는 펩타이드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MHC와 결합하는 아미노산을 면역유도반응에 사용되는 항원 부위에 삽입시킴으로써 새로운 백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펩타이드가 MHC 분자에 결합되는 과정은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항원 수용체에 항원이 결합되는 과정과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지금부터 펩타이드와 MHC 분자들의 상호작용에 관해 설명하겠습니다. 펩타이드-MHC 상호작용의 특성 MHC 분자들은 폭넓게 펩타이드와 결합하고 정교하게 항원을 인식.. 2023. 11. 3.
19.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란 무엇인가? -2 MHC 분자의 특성 MHC 분자는 펩타이드가 제시되거나 T 림프구에 의해 항원이 인식되도록 구조적인 특징을 공유합니다. MHC 분자는 세포 외 펩타이드 결합 부위와 면역글로불린 유사 영역이 있으며, 막간 영역과 세포질 영역에 의해 세포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습니다. Class Ⅰ 분자는 1개의 MHC 폴리펩타이드와 1개의 비-MHC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었으며, Class Ⅱ 분자는 2개의 MHC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Class Ⅰ 분자와 class Ⅱ 분자의 3차원적인 구조는 비슷합니다. MHC 분자의 다형 아미노산 잔기는 펩타이드와 결합된 틈새 혹은 그 부위의 주변에 존재합니다. 이 부위는 MHC 분자의 아미노 끝부분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졌으며, 8가닥 β-병풍구.. 2023. 11. 2.
18.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란 무엇인가? -1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T 림프구의 주요한 기능은 세포 내 미생물에 대한 방어 작용과 큰포식세포, B 림프구와 같은 다른 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작업입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감염된 숙주세포, 수지상세포, 큰포식세포, B 림프구들과 같은 세포들과 T 림프구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T 림프구의 항원 수용체는 다른 세포들에서 처리되어 발현되는 항원들만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다른 세포들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T 림프구의 이러한 특이성은 B 림프구의 특이성과 아주 대조적입니다. B 림프구가 분비하는 항체는 세포와 결합된 항원뿐만 아니라 수용성 항원도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항원이 T 림프구에 의해 인식되기 위해서는.. 2023. 11. 1.
17. 항원-항체 결합의 특징 항원의 생물학적인 특성 항원은 항체분자 또는 T 림프구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입니다. 항체는 복합 탄수화물, 인지질, 핵산, 단백질 등의 거대분자뿐만 아니라 단순한 중간 대사 산물, 탄수화물, 지방, 자극성 약물, 호르몬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생물학적 분자들을 항원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로지 펩타이드만을 인식하는 T 림프구와는 대조적인 현상입니다. B 림프구를 자극할 수 있는 거대분자만이 오로지 체액성 면역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면역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분자를 면역원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대분자는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보다 큽니다. 따라서 모든 항체는 거대분자의 항원결정기라고 하는 일부분에서만 결합합니다. 이들 중 어떤 것들은 반복되어 있고 각각에 항체가 결합할 수 있습니다.. 2023. 11. 1.
반응형